본문 바로가기
건강

작두콩과 강낭콩의 영양정보

by la merciel 2019. 5. 17.
반응형

열대 아시아, 아프리카 및 인도가 원산지인 콩의 다년생으로, 음식과 약용으로 재배된다. 콩깍지의 모양이 두부를 닮았기 때문에 도도라고도 한다.
고려 왕실에서 약재와 음식으로 사용되었으나, 한국전쟁 이후로는 보이지 않았다. 국내에서 이런 완두콩이 다시 재배된 것은 1990년대 말 충청북도에서 자매결연을 통해 중국 헤이룽장성으로부터 선물을 받으면서 국내에 씨앗이 퍼지면서 생긴 현상이다. 이후 국내에서 본격적으로 녹두 재배에 들어갔고, 최근 국내에서도 효능이 알려지면서 점차 활기를 띠고 있다. 완두콩의 잎은 길고 끝이 뾰족한 긴 달걀 모양의 타원형을 가진 세 개의 작은 잎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길이는 약 10cm이고 물결치는 가장자리가 있다. 꽃은 7~8월 사이에 피며 옅은 주홍색이나 흰색을 띠며, 여름에는 잎이 무성한 나물에서 긴 꽃줄기가 자라 총상으로 달려간다. 꼬투리는 꼬불꼬불한 끝이나 갈고리 모양으로 길이 20~30cm, 너비 5cm이며, 콩 10~14개가 들어 있다. 콩은 직경 3cm 정도로 일반 콩보다 크고, 왼쪽이 길고, 붉은색이나 흰색을 띤다.
그것은 9월에서 10월 사이에 수확된다. 콩콩에는 붉은색과 흰색이 있으며, 콩과 줄기의 색이 붉은색이면 붉은색, 흰색이 흰색이고 줄기가 초록색이면 흰색이 있다. 붉은 종은 콩보다 콩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보통 콩을 약으로 사용하는 반면, 흰 종은 콩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콩을 먹는다. 콩을 먹으면 치질, 축농증, 위염, 위염, 대장염에 큰 효과가 있다고 오래전부터 전해져 왔고, 콩 꼬투리는 만성 설사, 월경 간경변, 식이요법에 도움이 된다고 알려져 왔다. 명나라 토속 한학자인 이시진이 펴낸 한약재 연구 '본초앙목'에도 장과 위를 보호하고 마음을 따뜻하게 하는 약재로 기록되어 있다.
완두콩을 삶아 간식으로 쓰거나 된장 재료로 쓰거나 물에 담가 쌀로 만든 뒤 쌀과 섞어 먹을 수 있다. 콩을 갈아서 물이나 우유로 만들거나 추가해서 조리할 수도 있다.
사포닌은 사포닌이 풍부하여 지방 흡수를 늦추고 체중 증가를 억제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섬유질도 많이 들어 있어 변비 예방에 효과적이다. 또 일반 콩에 비해 비타민 A와 C가 풍부해 야맹증 예방, 시력 향상, 면역력 강화, 피로 해소에 도움이 된다. 피부는 검지만 속은 파랗기 때문에 속청이라고도 한다. 농작물 재배 기간이 길기 때문에 10월경에 서리가 내린 후에야 수확할 수 있으며, 서리를 따라 재배하기 위해 수리태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보통 다른 곡물과 함께 쌀에 담가 먹거나 떡을 만들 때 물에 담가 설탕 함량이 높아 음식으로 쓰인다. 수리태를 발효시켜 만든 청국은 건강 효과가 좋을 뿐만 아니라 메주를 넣어 만든 청국장보다 맛도 좋다. 
한방에서는 오래 전부터 노화의 예방과 깊은 관계가 있는 검은콩의 효과를 주목해 왔다. 검은콩은 흰콩보다 항산화 효과가 높고, 색이 짙을수록 항산화 효과가 크다. 
서목태(유두 또는 쥐눈이콩)는 약용으로 쓰인다. 수리태는 오랜 시간 꾸준히 먹으면 노화를 막는 안토시아닌 색소가 많아 검은콩의 대명사로 꼽힌다. 프로스티는 비타민 함량이 그리 높지 않지만 단백질과 식물성 지방이 매우 풍부하며 비타민 B군, 특히 B1, B2, 나이아긴 등이 풍부하여 신체의 다양한 신진대사에 필수적이다. 또한 여성 호르몬인 에스트로겐과 같은 작용을 하는 이소플라본이라는 콩 단백질을 많이 함유하고 있다.

반응형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브로콜리의 성분  (0) 2019.05.25
토마토의 유래와 건강한 영양소  (0) 2019.05.25
비타민의 종류와 효능  (0) 2019.05.25
버섯의 종류와 설명.  (0) 2019.04.17
건강하게 송이버섯을 드세요.  (0) 2019.04.17
곡식, 쌀에 대한 설명입니다.  (0) 2019.0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