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른 풀을 뜻하는 라틴어는 후바의 어원입니다. 기원전 4세기에, 그리스의 학자 테오프라수스는 식물을 나무, 관목, 그리고 초본으로 나누면서 처음으로 초본이라는 용어를 만들었습니다.
예로부터 방부제, 살충제, 통증, 진정제 등을 치료하는 약초로서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메소포타미아에서 출토된 점토판, 고대 이집트 파피루스에 남아 있는 기록, 잉카 유적에서 나온 향료와 연기 흔적 등이 그 증거입니다. 고대 이집트에서는 기원전 2400년경 귀족이 죽었을 때 몸이 썩지 않도록 쿠민, 아니스, 카시아, 계피, 마조람 등으로 미라가 만들어졌다고 합니다.
고대 로마가 유럽 전역을 지배한 후 지중해 연안에서 유럽 각지로 퍼져나가 약용에서 고급으로 발전하고 방향요법을 만들었습니다. 고대 로마의 학자 디오스코리데스가 쓴 기원전 1세기에는 논문에 쓴 약초 종류가 600여 종, 히포크라테스의 저서에는 400여 종의 약초가 기록되어 있습니다. 4세기경 중앙유럽은 사냥과 가축을 먹고 살았기 때문에 독일 정복 이후 실크로드에 아시아의 허브가 퍼져나갔습니다.
중세 중부유럽에는 채소의 개념 대신 식용 식물이 몇 개밖에 없었기 때문에 치커리는 말라리아와 간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약초로 사용되었고, 로즈마리는 악령을 물리치기 위한 신성한 식물로 여겨졌습니다. 15세기 후반 아메리카 신대륙 발견 이후 에스파냐 원정이 멕시코를 식민지로 만들면서 유럽에 인도산 허브 재배가 도입됐고, 중세 수도원을 전후해 약용 식물과 과일나무와 함께 허브 재배에 나섰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서양과 달리 농업문화가 발달해 미나리 쑥갓, 마늘, 파, 생강, 고추 등 향긋한 채소, 창포 쑥 오믈렛 등이 허브로 쓰입니다. 꿀풀, 잡초, 국화, 파슬리, 백합은 전 세계적으로 약 2,500여 종이 있으며, 대체로 줄기나 꽃에 작아서 민족 번식을 위해 멀리서 냄새를 맡을 수 있는 강한 방향성 물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육질이 강해서 사방이 잘 자라지만 환기도 좋고 열과 배수도 좋고 유기물질도 높고 햇빛도 많이 쬐어 양지바른 토양에서 잘 자랍니다.
꽃이 필 때 향이 가장 강하기 때문에 수집하여 냉장고에 보관하거나 달과 밀봉된 용기에 건조시킵니다. 비타민과 미네랄이 풍부하고 소화, 수렴, 이뇨, 살균, 항균 등의 약재로 작용하기 때문에 따뜻한 물에 녹여 고기, 생선, 장 등의 냄새를 없앨 수 있고 단맛, 맵고 쓴맛, 신맛의 변화를 줄 수 있어 특히 서양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음식 이외의 약초를 사용하는 예로서 카페인이 전혀 없는 허브차는 혈액순환과 위장에 이완 효과가 있으며, 향기로 아로마테라피는 스트레스나 피로, 거친 피부에 있을 때 미용 효과를 높일 수 있습니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혈당 조절에 도움이 되는 차(tea) 추천 (0) | 2025.04.10 |
---|---|
고구마 부작용 정리(위염, 역류성식도염 등) (0) | 2022.12.08 |
커피(카페인) 중독증상과 후유증을 극복하는 방법 (0) | 2022.12.08 |
로즈마리 재배법 (0) | 2019.11.27 |
향신료 시나몬의 모든 것 (0) | 2019.11.27 |
대추야자의 유래와 기원 (0) | 2019.1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