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늘은 중앙아시아 토착의 백합과에 속하는 가장 뜨거운 식물로, 한국, 중국, 일본 등 극동에서 널리 재배되고 있다.
마늘은 강한 냄새 외에 100가지 이점이 있기 때문에 작업용 바기라고 불린다. 오늘날 마늘은 효능이 과학적으로 입증되었기 때문에 웰빙 식품으로 인정받고 있다. 2002년 미국 시사주간지 타임은 마늘을 세계 10대 건강식품으로 선정해 스스로 먹거나 각종 식품의 원료로 활용할 수 있는 기능성 식품이라고 극찬했다.
마늘은 1992년 미국암연구소가 발표한 프로그램 피라미드 상단에 위치하고 있는데, 건강한 몸을 유지하기 위해 건강식품을 적극적으로 섭취하면 70세에 질병을 절반으로 줄일 수 있다고 한다. 마늘은 우리 나라의 거의 모든 요리에 쓰인다. 마늘 냄새가 강하면 부리가 없어지고 음식의 맛이 좋아지며 식욕이 좋아지기 때문에 향신료로도 사랑받는다.
마늘의 주성분은 탄수화물 20%, 단백질 3.3%, 지방 0.4%, 섬유질 0.92%, 회분 13.4%, 비타민 B1, 비타민 C, 글루타민산, 칼슘, 철, 인, 아연, 셀레늄, 알리신이다. 마늘이 에너지와 에너지의 강장제라는 것은 고대 이집트 때부터 알려져 있다. 기원전 2500년경 만들어진 이집트 쿱 왕 피라미드 벽에 새겨진 상형문자들은 피라미드 건설에 종사하는 노동자들이 마늘을 먹였다고 기록하고 있다. 마늘을 왕의 무덤에 넣은 고대 이집트인들은 오늘날 기독교인들이 성경에 맹세했듯이 마늘에게 맹세했다. 한국에 마늘이 언제 소개되는지에 대한 자세한 기록은 없지만 단군신화는 마늘을 보여준다. 삼국사기시대에는 "입추 이후 해일에 마늘밭에서 후옹제가 사용되었기 때문에 마늘이 이미 이 시대에 약용, 식량작물로 사용되었다는 기록이 있다.
마늘을 먹고 나서 마늘냄새를 없애려면 우유를 천천히 마시거나 녹즙이나 자스민차나 허브차를 약간 진하게 마신다. 된장국에도 탈취제 성분이 들어 있어 효과가 있다. 마늘을 껍질을 벗긴 후 식초 몇 방울을 떨어뜨린 후 씻으면 손가락 끝의 냄새가 사라진다.
자식의 중국 고대 의학서 본초강목에서는 마늘을 여러 가지 질병에 이로운 효과가 있다고 기술하였고, 산농 초기에는 마늘을 오랫동안 복용해도 몸에 해롭지 않는 일반 약으로 분류하였다. 중국에서는 살균, 정장, 각기병, 결핵, 촉매제 등에 효과가 높다고 한다. 마늘의 대표적인 성분은 알린이라는 황화합물이다. 알린은 향기가 없지만 마늘 조직이 상할 때는 자기 방어 물질인 알리나 아제라는 효소의 역할을 한다. 알리신은 물론 입에서 냄새가 나는 것과 동시에 강한 냄새를 풍긴다.
알리신은 강력한 살균 작용과 항균 효과가 있어 식중독균을 죽이고, 위궤양을 일으키는 헬리코박터균까지 죽게 된다. 또한 알리신은 소화를 돕고 면역력을 높이며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기도 한다. 알리신이 비타민 B1과 결합하면 알 티아민으로 변하여 피로 해소와 에너지 증진에 도움을 준다. 타임지는 알리신을 페니실린보다 강한 항생제로 소개했다.
마늘에는 알리신 외에 다양한 황화합물이 들어 있으며, 메틸시스테인은 간암과 대장암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유황 화합물은 또한 활성산소를 제거하기 위한 산화 방지제 역할을 한다. 또 마늘은 토양에 셀레늄을 흡수해 저장하는데, 이 역시 암을 예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마늘은 이 피라미드에서 알려진 40가지 종류의 항암식품 목록에서 1위를 차지했다. 효과적인 항암식품으로 꼽히는 마늘을 꾸준히 섭취하면 암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생마늘을 먹기 어렵다면 마늘을 굽는다. 마늘은 구워도 영양가가 변하는 일이 거의 없고, 매운맛이 훨씬 더 좋고 소화흡수도 더 높다. 그러나 마늘을 너무 많이 먹으면 배가 아플 수 있기 때문에 좋지 않다.
한편 캐나다 퀸스대 프랫 교수팀은 이날 "마늘에 함유된 알리신 성분이 인체에 해로운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데 매우 효과적이며 마늘이 건강에 이롭다"고 밝혔다. 마늘의 항산화 작용은 알려져 있지만, 마늘은 녹차나 포도의 강력한 항산화제인 플라보노이드와 같은 항산화제를 알지 못하기 때문에 그 작용의 메커니즘은 수수께끼였다. 즉,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항산화제가 마늘에 있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활성산소 제거 물질은 발견되지 않았다.
그러자 프랫의 연구팀은 알리신이 생산한 2차 물질인 설페니산이 활성산소를 제거한다는 사실을 확인하는 데 성공했다. 현재까지 알려진 항산화제 가운데 마늘에서 생산되는 설 페니 산은 무임승차율이 가장 빠른 것으로 밝혀졌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탄수화물의 소화과정 (0) | 2019.06.07 |
---|---|
칼슘이 들어있는 식품과 섭취방법 (0) | 2019.06.07 |
천연 비타민은 어떻게 만들어 지는 가. (0) | 2019.06.07 |
엽산이 필요한 이유 (0) | 2019.05.25 |
몸을 건강하게 해주는 달걀 (0) | 2019.05.25 |
브로콜리의 성분 (0) | 2019.05.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