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채식주의자의 윤리적인 동기

by la merciel 2019. 6. 13.
반응형

윤리적 동기에서 채식주의에 대한 논의는 1940년대와 60년대의 영국과 미국 지역에 본격적으로 도입되기 시작한 공장형 가축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동물 왕국에서 비롯되었다. 닭 1000마리를 작은 떼로 몰아넣는 밀집 사육, 암탉을 몸집만 한 공간에 가두어 매일 산란만 반복하는 배터리 우리, 암소에 강제로 정액을 주입하거나 갈아엎을 수 없는 아기 우리나 우리 속의 돼지 등 가축 기술이 축산업계의 대세로 자리 잡았다. 타조. 피터 싱어와 톰 리건 전 영국 대 철학과 교수는 현실에 불만을 품게 되었고 동물 권리에 대한 도덕적 철학적 이론을 준비하기 시작했다. 그리하여 1970년대에는 근대 윤리적 채식주의 논의의 핵심이었던 동물권 논의가 대두되었다.
아마도 동물 권리에 대해 이야기하려면 먼저 인권 발견의 역사를 되짚어봐야 할 것이다. 서양 계몽주의에서는 인간만이 이성을 가지고 있다고 가정하여 신에 대한 권리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일부 동물도 초보적인 수학, 언어, 논리 등을 이해하고 진화심리학이나 생존원리에서 벗어나는 이타적인 행동을 관찰한다는 증거가 있다. 계몽주의에 의해, 동물에게도 이성이 있다면, 자연권을 갖지 못할 이유가 없다.
계몽주의에서 신에 대한 신의 권리는 결함이 있다. '신생아, 치매 환자, 정신질환자에게 비이성적이라고 여겨지는 인권이 없는가'라는 치명적인 질문을 던질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현대에 이르러서는 천자의 권리가 의심의 여지없이, 의심의 여지없이, 조건 없이 인간으로서 부여된 권리로 상정된다는 데 의견이 모아졌다. 그러므로 그것은 도덕적 판단의 규범이며 요청된 원칙이며, 인간이 평등하다는 사실을 함축하는 것이 아니다.
그러나 가장 영향력 있는 동물권리 이론가이자 공리주의자인 피터 싱어는 깨달음의 사상이 불충분하고 모순된다고 생각한다. 그는 이성이 정말 중요한 기준인지 다시 생각해 보자고 말한다. 싱어는 제레미 벤담의 의견을 인용한다. 제레미 벤담에 따르면, 이성이나 담론을 할 수 있는 능력은 진정한 자격기준이 될 수 없다. 네 살배기 개나 말이 갓 태어난 아이보다 의사소통 능력이 뛰어나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개나 말이 갓 태어난 아이보다 우월한 권리를 주는 것은 아니다. 반대로 인간 아이는 이성이나 담론 능력이 없기 때문에 권리를 박탈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렇다면 이성은 누가 권리를 가지고 있는지 결정하는 올바른 기준이 아니다.
역사적으로 인간은 성별이나 인종에 따라 권리가 부여되는 방식을 조정해 왔다. 당시 그러한 우파의 접근은 매번 자연스럽고 불가피한 것으로 여겨졌다. 남성이 여성에 대한 우월적 권리를 누려야 한다는 생각은 18, 19세기까지 서구 사회에서 당연한 것이었다. 흑인은 백인에 의해 통치되어야 한다는 관념은 19세기 미국 남부의 지배적인 상식이었습니다. 오늘날 우리는 성별이나 인종이 권리를 부여하는 합리적인 기준이 될 수 없다는 것을 알고 있다. 그것들은 단지 임의의 기준일 뿐이다. 그렇다면 어떻게 이유의 무작위 기준이 압제와 지배자를 구별할 수 있을까? 아니면 인간성이라는 계파적 잣대가 어떻게 보편적 정당성의 철칙에 입각한 도덕적 판단의 원칙이 될 수 있겠는가. 따라서 피터 싱어는 이성이나 인성에 근거하여 도덕적 판단의 대상을 결정하는 것은 성이나 인종을 중심으로 그런 분리를 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자의적이고 정당하지 못하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사고의 결과로 피터 싱어가 제안한 개념은 성애 주의이다. 피터 싱어 또한 차별을 정당화하기 위해 새로운 기준을 세운다. 벤담이 그랬듯이, 피터 싱어는 그 기준은 유쾌하고 예민하다 또는 기쁨과 고통을 느끼는 민감도에 달려 있다고 판단한다.
싱어의 의견으로는 높은 내수와 높은 내수는 우리의 직관과 과학적 상식에 의해 보장되는 최소한의 표준이다. 무엇이 즐겁고 무엇이 고통스러운지 아는 사람만이 도덕적으로 고려되고, 더 잘 대우받고, 존경받고 싶어 할 것이다. 척추동물이 고통을 피하고 쾌락을 원한다는 사실에 의문을 제기하는 과학적 연구 사례는 없다. 오늘날의 연구는 물고기와 게와 쾌락을 찾는 데 합의하는 것 같다. 한편 식물에 대해서는 식물이 고통을 인지하지 못한다는 점에 대해서는 합의가 있다. 식물이 고통과 음악에 반응한다는 주장은 가장 흔한 유사 과학 중 하나이다. 
싱어가 인용한 예에 따르면 비객체, 즉 스톤과 같은 물체에 대해서는 그러한 능력이 없다. 돌멩이가 발로 차서 주의를 기울인다는 과학적 증거는 없다.

반응형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채식주의자가 건강한 이유  (0) 2019.06.13
한국의 채식주의자  (0) 2019.06.13
채식주의자의 종교적인 동기  (0) 2019.06.13
채식주의자와 건강  (0) 2019.06.13
탄수화물의 소화과정  (0) 2019.06.07
칼슘이 들어있는 식품과 섭취방법  (0) 2019.06.07